‘막사발’ 도예가 김용문 영면에 들다

  • 등록 2025.07.04 10:56:58
크게보기

막사발도예가, 토우작가, 행위예술가
세계막사발실크로드심포지움 기획/개최

한민규 기자 |

도예가이자 ‘막사발실크로드페스티발’ 기획자 김용문이 지난 7월 3일 암 투병중에 안타깝게 영면에 들었다. 향년 70세.

 

김용문은 경기도 오산 출신으로 홍익대 공예과를 나와 왕성한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특히 1984년 충주댐 건설로 수몰된 지역 주민들의 애환을 담은 토우를 강물에 던지며 펼친 퍼포먼스인 ‘수장제’로 크게 명성을 얻었다.

 

이후 도예가, 토우작가, 행위예술가 등으로 활약했으며, 1990년대 후반 고향인 오산에서 ‘세계막사발장작가마축제’를 열며 막사발의 세계화에 앞장섰다.

세계막사발장작가마축제는 이후 ‘세계막사발실크로드심포지움’이라는 이름으로 국내외에서 지난해까지 53회에 걸쳐 개최되었다.

 

또한 오는 7월 19일에는 강원도 영월에 있는 친환경애너지센터에서 ‘김용문막사발실크로드 컬랙션’ 개막식을 준비하는 등 최근까지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중에 이런 일이 발생해 주위를 더욱 안타깝게 하고 있다.

 

김용문은 2010년부터 현재까지 튀르키예 국립 하제테페 미술대학 초빙교수로 재직했으며, 중국 산동이공대, 산동경공업대학교에서 객좌교수를 역임했다.

 

장지는 튀르키예 앙카라 대학 외국인 묘지이며, 유족으로는 부인과 딸이 있다.

 

 

김용문 약력 및 활동

 

1955년 경기 오산 출생

•홍익미대 공예과 및 동 대학원 졸업

•세계막사발장작가마축제 조직위원장

•튀르키예 국립 하제테페 미술대학 초빙교수(2010~ 2025년)

•중국 산동이공대, 산동경공업대학교 객좌교수

 

저술 활동

• 막사발 실크로드 도자기 다큐멘타리 책 출간

제1권 나는 막사발이다(2010)

제2권 막사발, 히타이트를 만나다(2011)

제3권 막사발 실크로드(2012)

제4권 세계막사발미술관 가는길(2013)

제5권 석연년스님의 작품세계(2015)

제6권 이시대의 세계막사발(2015)

제7권 막사발이 서쪽으로 간 까닭은(2016)

제8권 아트 포피스(2017)

•시집 출간 방사방사방생(시인통신사), 마음하나 다스리기가(애플북스), 현대시학 50주년 김용문 시도자전 사랑이여 어디든 가서 닿기만 해라; 달아실 출판사

 

작품 심사

•아르헨티나 타일비엔날레 심사위원

•터어키 SERES 2009 도자공모전 심사위원

•터키 아나돌루 대학교 주최 '무아메르 차크' 공모전 심사위원

 

개인전

제1회토우전(展)('82 뉴코아 미술관)

제2회매장. 그리고 발굴전('83 지리산)

제3회수장제('84 단양 남한강변

제4회방사, 방사, 방생전('85 한강미술관, 제주도 이호바다)

제5회 옹관장전('87 대학로, 여백사진 갤러리)

제6회 만파식토展('88 경인미술관. 제3갤러리)

제7회 빗재가마 사발전('89 민예사랑, 토인, 제천시민회관)

제8회性 두향제('90 금호갤러리)

제9회빗재가마 지두문전(91 민예사랑)

제10회용기와 도장생전('92 토도랑, 토아트스페이스)

제11회土·火·天사슬전('93 전통공예관 생활옹기초대전, 동호갤러리, 신세계, 미도파)

제12회木石草花전('94 갤러리아 갤러리, '95 충주 문화회관)

제13회악토와 잿물전('94 동광갤러리)

제14회옹기와 분청초대전('94 롯데월드 민속박물관, '95 충주 문화회관)

제15회환경기금마련 옹기전('95 기업은행 본점, 오산 시민회관, 한국 외국어대)

제16회'96 빗재문화 쉼터한마당(옹기박물관 건립을 위한 전시)

제17회'96 빗재가마 분성전(민예사랑)

제18회빗재가마 와바루전('96 불일미술관), 옹기전('96 산갤러리)

제19회'막사발' 그 葬祭(두레네, 밴쿠버, 토도랑, 이참평묘, 아리타 앞 강가)

제20회도예초대전(1999 표화랑, 수화문 갤러리)

제21회靑山 옹기접시展(2000 토 아트·수원미술관)

제22회임꺽정 화톳불전(2003 갤러리 빗재가마 오픈기획)

제23회새해맞이 김용문의 도기전(2004 다도화랑)

제24회진달래꽃(2005 부천시청아트센타)

제25회시도자전(2006 아츠 갤러리, 오산시청)

제26회대구토향갤러리 기획초대전(2007 동아갤러리)

제27회현대시 백년 시도자전(2007 이화갤러리, 갤러리31)

제28회시도자전(2008 하나아트갤러리, 아트갤러리 청담, 중국치박박물관)

제29회지두문전 '극기복례'전(2009 모빈화랑)

제30회김용문 막사발지두문초대전(2009 수원시 해피갤러리)

제31회'나는 막사발이다' 출판기념회(2010 유카리화랑, 오산중앙도서관, 전주오스갤러리, 갤러리 오늘, 남도음식박물관)

제32회하제테페대학교 갤러리초대전,

아나돌루 대학 갤러리초대전(2011)

제33회앙카라시 카라갤러리 초대전(튀르키예 앙카라시 카라 갤러리, 2012)

제34회지두문과 막사발전(완주 오스 갤러리, 수원 화성홍보관, 2012)

제35회카파도키아의 토템들(튀르키예, 앙카라 한국문화원 2012)

제36회카파도키아의 토템들(튀르키예, 이스탄불 미마르 시난 대학 박물관 2013)

제37회카파도키아 토템들(튀르키예,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카파도키아 박물관 초대전, 2013)

제38회시와 도자의 만남전(김용택-시, 김용문 -도자/오스 스퀘어,

삼례 문화카페 갤러리, 임실 오스 하우스, 2013)

제39회수원 미술관 초대전(2013)

제40회M갤러리 아르마다(2014/ 터키 앙카라)

제41회터키 제자들과 함께하는 김용문 막사발전(2014, 아라아트 센터, 통인화랑)

제42회김용문 토템과 막사발전(2015, 통인화랑,갤러리 오늘 초대)

제43회교동 아트 뮤지엄 초대전(2016 전주)

제44회이스탄불 토템과 지두문전(2016. 이스탄불 니시아트 갤러리/터키 앙카라 한국문화원)

제45회사나트 야품 갤러리 초대전(앙카라 2018)

제47회제46회 춘천 옥산가 옹기박물관 초대(2019)

현대시학 50주년 시도자

제48회이즈미르 에게대학교 초대전2019 how about the energy

제49회앙카라시립미술관 초대전(2019 찬카야 차르다스 현대미술관)

제50회갤러리 쇼유트 갤러리 초대전(앙카라2020)

제51회갤러리 카페 화 초대전 김용문 와바루와 도판화전(2021. 9월 경주)

제52회경주 한전 라우 갤러리 초대전(2021)

제53회앙카라 아타 갤러리 초대전(2021)

제54회아카디엄 갤러리 M초대전(2022)

제55회하제테페 미술대 베이테페 갤러리 초대전(2022)

제56회큐타야 세라믹 갤러리 도판전(2022)

제57회김용문 액션페인팅초대전(2023 마루아트센터)

제58회앙카라 소유트 갤러리 초대전(2025)

 

단체전

한국 도상전/겨울 대성리전/ 토해내기전/도조6인전 / 삶의 미술전 / 시대정신전/ 젊은 의식전 '80년대 미학의 진로전 / '86행위와 설치 미술제 / 무리 / '86여기는 한국전 15인 의 인사 동전/한국도예 유럽순회전/고개티전/ 남한강 24시전 / 롯데월드 민속박물관 초 대전통생 활옹기 특별전 / 열린 미술천안전/강용대, 김용문 2인전 / 지역 14인전 / 5일 초대전 / '97 인사동 대 보름전/역사와 환경전 / 분청사기의 오늘전/환태평양전(밴쿠버)/ 세계 막사발 장작가마 페스티벌(1998~2022)

 

 

기획축제 주요 연혁

 

세계막사발 장작 가마 축제 25년동안 49회 개최

 

제1회1998.6.1~12 1주년 세계 막사발 장작가마축제(빗재가마)

제2회1999.7.5~18 2주년 세계 막사발 장작가마축제(오산빗재가마)

제3회2000.7.1~8 3주년 세계 막사발 장작가마축제(용인 경희대)

제4회2001.5.30~6.10 4주년 세계 막사발 장작가마축제(수원 화성)

제5회2002.5.14~22 5주년 세계 막사발 장작가마축제(인사동)

제6회2003.7.26~8.4 6주년 세계 막사발 장작가마축제(괴산)

제7회2004.7.5~12 7주년 세계 막사발 장작가마축제(괴산, 연풍빗재가마)

제8회2005.1.6~19 8주년 세계 막사발 워크숍(양평 전원스튜디오)

제9회2005.4.10~14 한중 막사발 워크숍(부천 공예체험교육장)

제10회2005.7.16~22 세계 막사발 장작가마축제(괴산 빗재가마)

제11회2005.8.1~14 세계 막사발 장작가마축제(중국 치박)

제12회2006.5.17~23 9주년 세계 막사발 장작가마축제(오산 빗재가마)

제13회2006.10.20~23 막사발워크숍(중국 도자과기성)

제14회2007.2.1~12 10주년 세계 막사발 장작가마축제(중국 치박)

제15회2007.5.17~23 세계 막사발 장작가마축제(오산 빗재가마)

제16회2008.5.4~11 11주년 오산 막사발 장작가마축제(물향기 수목원)

제17회2008.8.25~9.1 11주년(제17회) 세계 막사발 장작가마축제(중국 치박)

제18회2009.5.1~10 12주년(제18회) 오산 세계막사발 장작가마축제

제19회2009.8.30~9.7 12주년(제19회)치박 세계막사발 장작가마축제

제20회2010.9.1~9.8 치박 세계막사발 장작가마축제(중국 치박)

제21회2010.9.14~9.18 오산세계막사발축제 2010

제22회2011.8.17~8.23 오산세계막사발축제 2011(인사동 K갤러리, 오산 빗재가마)

제23회2011.9.1~9.8 치박세계막사발 실크로드 칸퍼런스 2011(중국 치박)

제24회2011.10.1~10.10 하제테페 막사발장작가마 심포지엄 2011(터키 앙카라)

제25회2012.6.2.~6.27 오산 세계막사발 장작가마 심포지엄, 2012(오산시청, 궐동 빗재가마)

제26회2012.9.1~9.8 치박막사발 장작가마축제 2012(중국 산동성 치박 태산도자)

제27회2012.10.7~10.16 하제테페 막사발 심포지엄2012(터키 앙카라 하제테페대)

제28회2013.8.15~24 완주 세계막사발 심포지엄, 2013(완주 삼례/ 세계막사발미술관)

제29회2013.9.1~8 중국 치박 세계막사발 심포지엄 2013(중국 치박)

제30회2013.9.28~10.6 하제테페 세계막사발 장작가마 심포지엄,2013(앙카라)

제31회2014.9.1~8 중국 치박세계막사발 심포지엄 2014((중국 치박)

제32회2014.10.6~10.14 하제테페 세계막사발 장작가마 심포지엄2014(앙카라)

제33회2015.10.7~10.16 하제테페 세계막사발 장작가마 심포지엄 2015(앙카라)

제34회2015.11.7~11.16 베이징 세계막사발 장작가마축제 2015(베이징)

제35회2016.6.27~7.5 완주 세계막사발 장작가마 심포지엄 2016(완주)

제36회2016.10.18~29 하제테페(앙카라) 세계막사발 심포지엄2016(앙카라)

제37회2017.6 세계막사발 심포지엄 20주년기념 심포지엄(완주)

제38회2017.9.1~10 치박(중국)세계막사발심포지엄 2017(중국 치박)

제39회2017.10 하제테페(앙카라) 세계막사발 심포지엄 2017(터키 앙카라)

제40회2017.9.1~11 치박(중국)세계막사발실크로드 심포지엄 2017

제41회2017.10.4~16 하제테페(앙카라) 세계막사발 실크로드심포지엄 2017

제42회2018.10.16~29 하제테페(앙카라) 세계막사발 실크로드심포지엄 2018

제43회2019.8.13~20 노원 세계막사발 실크로드 심포지엄 2019

제44회2019.9.1~8 치박(중국) 세계막사발 실크로드 심포지엄 2019

제45회2019.10(터키) 하제테페 세계막사발 심포지엄 2019

제46회2020.11.23~12.2 하제테페 세계막사발 실크로드 심포지엄 2020

제47회2021.10.4~10 이스탄불 세계막사발실크로드 심포지엄 2021

제48회2021. 하제테페 세계막사발실크로드 심포지엄 2021

제49회2022. 이스탄불 막사발실크로드 심포지엄 2022

제50회2022. 하제테페(앙카라) 막사발 실크로드 심포지엄 2022

제51회인사동 막사발 실크로드 2022

제52회오산 세계막사발 심포지엄 2023

제53회하제테페(앙카라) 세계 막사발 실크로드 심포지엄 2024

 

 

한민규 기자 newsongg@kakao.com
Copyright @뉴스온경기. All rights reserved.


주소 : (18591), 경기 화성시 향남읍 발안로 101(행정리, 정메디프라자), 602호 // 오산지사, 경기 오산시 수청로 4-5 몽류도원 101호 등록번호 : 경기 아53803 | 등록일 : 2023-09-21 | 발행인/편집인 : 한민규 | 전화번호 : 031-378-9788 | 이메일 : newsongg@kakao.com Copyright @뉴스온경기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