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연구원, 24년 3월‘화성이슈리포트 제7호’ 발간

  • 등록 2024.04.01 16:52:20
크게보기

화성시 신재생에너지의 현주소와과제
화성시 교육국제특구 허와 실
부록-국내외 우수정책사례 및 시사점

한민규 기자 |

화성시연구원(원장 박철수)은 24년 3월‘화성이슈리포트 제7호’를 발간했다.

 

화성이슈리포트 7호에서는 화성시 신재생에너지의 현주소와 과제를 제시했다. 2022년 기준 화성시 신재생에너지 보급 용량은 전국 대비 1.1%, 경기도 대비 13.3%를 차지하고 있고, 특히 2021년 화성시의 최종 에너지소비 대비 신재생에너지 소비는 1.32%의 비율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화성시 신재생에너지의 정책과제로 ▲화성시 탄소중립형 RE100 기업·산업단지 전환사업 확대, ▲화성지역 분산형 전력거래 기반 가상발전소(VPP) 도입·운영, ▲화성시 특화형 수소도시 인프라 구축, ▲화성시민 주도형 재생에너지 공동체 사업추진, ▲화성형 재생에너지 협력 거버넌스 구성·운영을 제시했다.

 

이에 따른 기대효과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활성화 기여 및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증대, 화성시 전력 자립도 향상 및 관련 산업 생태계 강화, 수소에너지 활용 기술 분야 선도도시 기반 마련 등을 꼽았다.

 

또한 연구원은 화성시 교육국제화특구의 허와 실에 대해 시사했다.

교육국제화특구 3기로 신규 지정된 화성시는 시 전역(844㎢)이 특구 추진 지역에 해당한다고 말하며 화성시 교육국제화특구 허(虛)-오해로 ▲특별교부금(국비지원) 불가, ▲국제학교 설립 불가 등을 밝혔다.

 

반면 교육국제화특구 실(實)-진실로는 ▲화성시 학부모 및 시민의 교육환경 인식, ▲양질의 교육환경 제공으로 시민의 정주의식 및 인구증가 제고 등을 설명하며 교육국제화특구 사업추진을 위한 정책과제로 교육국제화특구 예산확보 및 거점기관 ‘국제교육센터’ 설립, 중장기 교육국제화특구 비전-화성시민 인재양성을 제시했다.

한편, 이번 호의 국내외 우수 정책 사례 및 시사점으로는 위기 소상공인 조기 발굴 및 선제 지원을 위한 서울신용보증재단 경영위기 알람 모형과 100만 특례시 대비 버스정류소 홍보물, 횡단보도 그늘막 등 일체 정비가 필요한 화성시의 사례를 소개했다.

 

화성이슈리포트 제7호는 화성시연구원 홈페이지 및 화성시청 홈페이지 시정알림방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민규 기자 newsongg@kakao.com
Copyright @뉴스온경기.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우)18463, 경기 화성시 동탄대로 706, 713호 등록번호 : 경기 아53803 | 등록일 : 2023-09-21 | 발행인/편집인 : 한민규 | 전화번호 : 031-378-9788 | 이메일 : newsongg@kakao.com Copyright @뉴스온경기 Corp. All rights reserved.